상추는 생장 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비교적 쉬우며, 수요가 연중 꾸준한 대표적인 수경재배 작물입니다. 특히 실내형 스마트팜에서는 공간 회전율이 높고 단가 안정성이 뛰어나 창업자와 초보 농업인 모두에게 추천되는 작물입니다.
이 글에서는 상추 재배를 위한 스마트팜을 어떻게 설계해야 수익성과 재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.
1. 상추 스마트팜의 기본 재배 조건
상추는 저온성 작물로, 다음과 같은 환경이 유지되어야 합니다:
- 온도: 생육 적정 온도 15~20℃ (24℃ 이상이면 생육 억제)
- 습도: 50~70% 권장 (습도 과잉 시 곰팡이 발생 ↑)
- 광: 일일 최소 14시간 이상 광합성광 필요 (PPFD 150~250μmol)
- EC (양액 농도): 1.0~1.8 dS/m
- pH: 5.5~6.5 유지
※ 스마트팜 설계 시 이 조건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와 제어 장비 배치가 핵심입니다.
2. 스마트 수경재배 시스템 구성
상추 재배에 적합한 스마트 수경재배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:
| 구성 요소 | 설명 |
|---|---|
| 재배 베드 (NFT/DWC) | 상추는 NFT 방식(물 흐름 속 재배)이 가장 일반적이며, 뿌리 부패 방지에 유리 |
| LED 조명 | 청+적 혼합 스펙트럼 (RED:BLUE=4:1) → 생장 속도 향상 |
| 환경 센서 | 온도, 습도, CO₂, 조도 센서 → 실시간 모니터링 |
| 양액기 및 자동 공급기 | EC/pH 제어 + 정량 공급 시스템 → 품질 균일화 |
| 스마트 제어 소프트웨어 | 휴대폰/PC에서 원격 제어 및 분석 가능 |
3. 공간 설계: 수익을 좌우하는 구조
상추는 상대적으로 키가 작고 수직 공간 활용이 쉬워 다단 선반식 구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- 선반 단수: 일반 천장(2.4m 기준)에서 3단 배치 가능
- 1단 선반 면적당 수용 가능 수량: 약 40~50주/㎡
- 회전 주기: 3~4주(재배 기간 짧음)
따라서 10평(약 33㎡) 공간에서 3단 구조를 활용하면 실재배 면적은 99㎡ 이상 확보되어 수익 구조가 크게 개선됩니다.
4. 조명 설계와 전력 소비
상추는 빛의 세기에 민감하며, 광량이 부족하면 잎이 퍼지지 않거나 성장 지연이 발생합니다. 스마트팜에서는 전력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을 사용해야 합니다.
- 조도: 최소 200~300μmol/㎡·s
- 조명 시간: 하루 14~16시간
- 소비전력: 1㎡당 약 25~30W 예상
LED 조명은 조절 가능 스펙트럼으로 설정해 성장 초기에는 청색광 비율을 높이고, 후기에는 적색광을 높이는 방식으로 활용합니다.
5. 설계 시 유의사항
- 물 배출 시스템 설계: 루트존의 산소 공급이 중요하므로 배수 구조 필수
- 에어컨·환기장치 배치: 밀폐형 구조에선 온도 상승 빠름 → 공기 순환 필수
- 작업 동선 고려: 선반 간 간격 최소 60cm 이상 확보
- 병해 진단 시스템 연동: AI 기반 생육 데이터 분석 기능 추천
결론: 설계가 곧 수익이다
상추 스마트팜의 성공은 작물 특성에 맞춘 정밀한 설계와 자동화 시스템의 조합에 달려 있습니다. 단순히 선반을 쌓는 것이 아니라, 광, 온도, 수분, 양분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만 균일한 품질과 빠른 회전으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상추는 설계가 쉽지만, 제대로 해야 ‘돈이 되는 작물’입니다.